교육 자료

(세균) B. burgdorferi, Borrelia afzelii, B. garinii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57
  • 작성일
    2020-01-28

(세균) B. burgdorferi, Borrelia afzelii, B. garinii

[B. burgdorferi 출처:http://phil.cdc.gov/phil/details.asp ID#66311, CDC]

• 위 험 군 :제 2위험군
• 국내범주 :-
• 특 성 :Spirochaetaceae과, diderm bacteria,나선균, 미산소성

 

1. 병원성 및 감염증상

잠복기 : 3 ~ 32일

라임병(Lyme disease, Lyme borreliosis)을 유발함.

라임병의 경우 급성국소성감염, 급성파종성감염, 지연/만성감염이 나타남.
- 급성국소성감염:진드기 노출 후 약 1-3주 후 물린 부위를 중심으로 원심성으로 퍼져가는 특징적인 유주성 홍반이 나타남. 발열, 오한, 피로감, 두통, 관절통 등 균혈증과 연관된 전신증상 동반 가능
- 급성파종성감염:노출 후 3-10주가 지나면, 일부에서 신경증상, 마비증상, 심혈관계증상, 이차성 유주성 홍반이 나타남.
- 지연/만성감염:수 주 내지 수 년 후에 발생. 치료받지 않은 환자의 50-60%가 단발성 관절염, 만성 위축성 선단피부염 발생함.

 

2. 치료 및 백신

치료 : doxycycline, amoxicillin

백신 : 1998년 미국 FDA 승인받은 재조합 백신 LYMErix가 있으나 2002년 심각한 부작용으로 생산 중단됨.

 

3.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3-1. 감염위해요소 

감염 경로
- 일반 감염경로:감염된 진드기(Ixodes scapularis, I. pacificus, I. ricinus, I. persulcatus, Haemaphylalis spp.)에 물려 감염됨.
- 실험자 감염경로:손상된 피부를 통한 감염 및 날카로운 도구 사용 중 자상사고에 의하여 감염 가능함.

감염량 : -

숙주:사람, 사슴, 야생 설치류 

실험실 획득감염:-

3-2. 생물안전밀폐등급

BL2 권장:임상검체, 감염성물질, 배양체를 취급하는 실험

ABL2 권장:동물 감염실험 및 감염동물 해부 등

3-3. 개인보호장비 : 반드시 실험복을 착용하고, 감염성물질 또는 감염동물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경우 장갑착용, 감염성물질이 튈 우려가 있을 경우 눈보호구 착용, 에어로졸 발생우려가 있는 조작과 대량 또는 고농도의 균 취급 시 생물안전작업대(BSC) 내에서 작업할 것을 권장, 주사바늘 및 날카로운 실험도구 사용 자제.

3-4. 소독 및 불활성화 : 70% ethanol, 1% sodium hypochlorite, 121℃에서 15~30분간 고압증기멸균 등

숙주 외 환경저항성:실온의 감염된 guinea pig 혈액에서 28~35일, 소변에서 짧은 기간 동안 생존 가능. 4℃의 수혈을 위한 사람 혈액에서 48일 생존 가능.

폐기물 처리:감염성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