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 Bacillus anthracis
-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 조회
- 61
-
- 작성일
- 2020-01-28
(세균) Bacillus anthracis
[출처 : http://phil.cdc.gov/phil/details.asp ID#1792, CDC]
• 위 험 군 :제 3위험군
• 국내범주 :고위험병원체, 생물작용제, 전략물자통제병원체
• 특 성 :Bacillaceae과, 그람양성, 막대균, 운동성 없음, 협막을 가짐, 불리한 환경조건에서 포자 형성
1. 병원성 및 감염증상
잠복기 : 1~7일(호흡기 탄저의 경우 최대 60일)
(출처 : 2018 Yellow Book. CDC. US.)
탄저를 유발하며, 감염경로에 따라 임상증상이 나타남.
피부탄저:피부 발진 및 수포가 형성된 후 병변이 전신으로 퍼짐.
호흡기탄저: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다가 심한 호흡곤란, 청색증과 객혈, 쇼크, 뇌염 등을 보임.
위장관탄저:심한 복통이나 토혈 등을 일으키다가 병이 악화되어 뇌염, 독혈증, 쇼크증상이 나타나 사망할 수 있음.
2. 치료 및 백신
치료 : ciprofloxacin, doxycycline, penicillin G, streptomycin, gentamycin
백신 : 현재 미국에서 개발된 AVA(Anthrax Vaccine Absorbed), 영국에서 개발된 AVP (Anthrax vaccine Precipitated), 러시아에서 개발된 LAAV(Live Anthrax Attenuated Vaccine)이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 개발 중임.
3.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3-1. 감염위해요소
감염 경로
- 일반 감염경로 : 감염된 동물과 직접접촉, 오염된 양모, 털, 뼈 등과 접촉, 오염된 육류 섭취, 오염된 토양 및 동물을 통한 포자 흡입
- 실험자 감염경로 : 오염된 실험실 및 배양액 등 감염성 물질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피부에 접촉, 배양 등 감염성 물질 조작과정 중 발생한 에어로졸 흡입, 실험동물 취급 시 우려됨.
감염량 : 섭취 시 100~500개 정도로 추정, 포자 흡입 시 10,000~20,000개가 치사량으로 알려짐. 원숭이 포자 흡입 실험 결과 약 4,000~8,000개의 포자를 흡입 시 병증을 보임.
숙주:사람, 소, 양, 염소, 말, 돼지 등
실험실 획득감염:
-2002년 미국 텍사스에서 탄저균을 취급하지 않는 연구원이 맨손으로 보존용기를 만진 후 피부탄저에 감염됨.
(출처 : Suspected Cutaneous Anthrax in a Laboratory Worker-Texas, 2002, MMWR;51:279-281)
-2004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탄저균을 이용한 동물실험 중 에어로졸로 인하여 실험실 환경이 오염되었고 이로 인해 직접 동물실험한 3명의 연구자를 포함한 12명이 감염된 사례가 있음.
(출처 : Inadvertent Laboratory Exposure to Bacillus anthracis-California, 2004, MMWR 2005, 54(12);301-304)
3-2. 생물안전밀폐등급<
BL2 권장:임상검체 취급, 진단 실험, 분자생물학적, 혈청학적 검사, 플라스미드 pXO2 소실 균주 취급
BL3 권장:균배양 등 병원체를 직접 취급하는 실험
ABL3 권장:동물 감염실험 및 감염동물 해부 등
3-3. 개인보호장비 : 반드시 앞트임이 없는 실험복과 장갑, 호흡보호장비 착용(BL3 취급 경우 KF94 또는 N95 마스크 등 이와 동급 마스크 이상 호흡보호장비 착용), 배양액 및 감염성 물질이 튈 우려가 있을 경우 호흡장비가 장착된 안면보호장비 착용, 배양액 취급 및 에어로졸 발생 가능한 조작은 생물안전작업대 내에서 수행. 주사바늘 및 뾰족한 실험도구 사용 자제
3-4. 소독 및 불활성화 : 2% glutaraldehyde, 5% formalin(16시간 이상 노출), 유효염소농도가 0.5% 염소용액, 건조, 가열, 햇빛에 저항성이 강하므로 121℃에서 30분 이상 고압증기멸균, 2% glutaraldehyde 등
숙주 외 환경저항성:포자는 토양 및 피부에서 생존가능하며, 감염된 동물, 오염된 공기 및 양털에서 수십년, 우유에서 10년, 건조한 filter paper에서 41년, 명주실에서 71년, 연못물에서 2년간 생존 가능
폐기물 처리:감염성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