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자료

(세균) Bacillus cereus
  • 작성자
    최고관리자
  • 조회
    56
  • 작성일
    2020-01-29

(세균) Bacillus cereus

출처:http://phil.cdc.gov/phil/details.asp ID#1058, CDC/ Dr. William A. Clark

• 위 험 군 :제 2위험군
• 국내범주 :-
• 특 성 :Bacillaceae과, 그람양성, 막대균, 운동성 있음, 내생포자 형성, 6종류의 독소 생성(5종류의 장독소와 1종류의 emetic toxin), 조건무산소성균

 

1. 병원성 및 감염증상

식중독 원인균의 하나로 잠복기 : 설사형은 6~24시간, 구토형은 1~5시간

장관감염증을 유발함.

구토와 복통이 특징적이며 설사는 약 30% 감염자에서 발생.

2004년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탄저형 세레우스균(B. cereus biovar anthracis)은 고릴라와 침팬지에서 탄저와 유사한 병증을 나타냈으며 피하접종이나 비강 흡입감염에 의한 동물모델에서 독성이 확인됨. 탄저균과 같은 경로로 사람에게도 감염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함
(출처 :미국의 신종관리대상 고위험병원체 탄저형 바실러스 세레우스균. 주간 건강과질병. 2017. 질병관리본부. )

 

2. 치료 및 백신

치료 : 보존적 치료, 급성식중독의 경우 경구 수분 공급(oral rehydration therapy), 눈에 감염되었을 경우 항생제 투여(일반적으로 clindamycin, aminoglycosides, vancomycin, chloramphenicol, erythromycin에 감수성 있음.

백신 : -

 

3.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3-1. 감염위해요소 

감염 경로
- 일반 감염경로:오염된 음식 섭취, 조리한 후 실온에 방치하여 균의 포자가 증식하거나 독소가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짐, 사람 간 전파 안 됨.
- 실험자 감염경로:오염 물질 섭취(음식과 토양에서 독소생성)

감염량 : 음식 gram 당 104~109 cell

숙주:사람(특히 면역저하자, 정맥주사 사용자, 신생아), 동물(B. cereus biovar anthracis 경우 고릴라, 침팬지)
(출처 :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anthracis like bacteria isolated from wild great apes from Cote d'Ivoire and Cameroon. Klee SR. Ozel m, Appel B, Boesch C, Ellerbrok H, et al. J Bacteriol. 2016. 188:(15) 5333-5344)

실험실 획득감염:-

3-2. 생물안전밀폐등급

BL2 권장:검체 및 병원체 취급 등 모든 실험, B. cereus biovar anthracis 임상검체 취급 및 진단 실험 등 

BL3 권장:B. cereus biovar anthracis 균배양 등 병원체를 직접 취급하는 실험

개인보호장비 : 반드시 실험복을 착용하고, 감염성물질 또는 감염동물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경우 장갑착용, 감염성물질이 튈 우려가 있을 경우 눈보호구 착용, 에어로졸 발생우려가 있는 조작과 대량 또는 고농도의 균 취급 시 생물안전작업대(BSC) 내에서 작업할 것을 권장, 주사바늘 및 날카로운 실험도구 사용 자제

소독 및 불활성화 : 일반적인 소독제에 저항성이 있으며, 수 분내 소독을 하려면 고농도 염소 소독제 사용, 오염된 물품은 glutaraldehyde, 포자는 1% sodium hypochlorite, paracetic acid, hydrogen peroxide, chlorine dioxide, iodine, acids, alkali, 121℃에서 15분간 고압증기멸균, 감마선 조사(2~5×105 rads) 등 부록 2(멸균 및 소독) 참고

숙주 외 환경저항성:토양, 식물에서 생존하며, 열에 저항성이 있어서 식품을 가열하는 과정에서도 생존 가능

폐기물 처리:감염성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