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Bebaru virus
-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 조회
- 48
-
- 작성일
- 2020-01-29
(바이러스) Bebaru virus
Surface of Alphavirus
출처: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Alphavirus.png, CDC
• 위 험 군 :제 2위험군
• 국내범주 :-
• 특 성 :Togaviridae과, Alphavirus속 (+)ssRNA,외피 있음
1. 병원성 및 감염증상
- 잠복기 : -
- 말레이 반도 사람 샘플의 3분의 1에서 중화항체가 확인되었고 Culex spp.과 Aedes butleri에서 바이러스가 분리됨. 사람이 이 바이러스의 숙주인지 모기에게 바이러스를 옮기는 결정적인 원인인지에 대한 논쟁 사항이 있음. 또한 퀸즐랜드, 빅토리아, 노던 주에서 사람혈청에서 항체를 발견하였고 퀸즐랜드 주 전역에 걸쳐 말, 돼지, 소에서도 확인됨.
2. 치료 및 백신
- 치료 : -
- 백신 : -
3.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 감염위해요소
- 감염 경로
- 일반 감염경로:모기 매개로 전파됨
- 실험자 감염경로: 우발적 접종, 상처난 피부 및 점막에 감염성물질 접촉으로 인하여 감염 가능함 - 감염량 : -
- 숙주:사람, 모기, 말, 돼지, 소
- 실험실 획득감염: -
- 생물안전밀폐등급
- BL2 권장 : 임상검체, 의심검체, 감염성물질, 배양체를 취급하는 실험
- ABL2 권장:동물 감염실험 및 감염동물 해부 등
- 개인보호장비 : 반드시 실험복을 착용하고, 감염성물질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경우 장갑 착용, 감염성물질이 튈 우려가 있을 경우 눈보호구 착용, 에어로졸 발생우려가 있는 조작과 대량 또는 고농도의 바이러스 취급 시 생물안전작업대(BSC) 내에서 작업할 것을 권장, 날카로운 도구 사용 시 주의
- 소독 및 불활성화 : 70% ethanol, sodium hypochlorite(0.05~0.1% free chlorine), accelerated hydrogen peroxide,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58℃ 이상 온도에서 불활성화됨, 121℃에서 15분 이상 고압증기멸균 등
- 숙주 외 환경저항성: -
- 폐기물 처리:감염성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