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 Bordetella pertussis
-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 조회
- 51
-
- 작성일
- 2020-01-29
(세균) Bordetella pertussis
출처:http://phil.cdc.gov/phil/details.asp ID#2121, CDC
• 위 험 군 :제 2위험군
• 국내범주 :-
• 특 성 :Alcaligenaceae과, 그람음성, 짧은 막대균, 운동성 없음, 산소성
1. 병원성 및 감염증상
- 잠복기 : 7 ~ 10일(최대 21일)
- 급성 호흡기 질환인 백일해를 유발함.
- 비말을 통해 호흡기 상피세포에 부착, 독소를 생산하여 국소적 조직파괴와 전신독성, 심한 기침 유발하며 전형적으로 3단계에 걸쳐 증상이 나타남.
- 1단계 카탈기:콧물, 재채기, 미열, 기침 등 감기 유사증상이 1~2주간 지속됨
- 2단계 경련기:청색증과 구토를 동반하는 발작적인 백일해 기침 1~6주간 지속됨
- 3단계 회복기:발작적인 기침이 줄어들지만 기침은 몇 달간 지속될 수 있음.
2. 치료 및 백신
- 치료 : azithromycin, clarithromycin, erythromycin 투여(발병초기에 투여되지 않으면 증상 감소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전염력 감소효과만 있음), 부신피질 호르몬제, 기관지확장제 등의 약제를 증상 완화 목적으로 투여, Non-macrolide alternatives (trimethoprim- sulfamethoxazole)도 사용할 수 있음.
(출처 : Pertussis (Whooping Cough). 2015. CDC. US.) - 백신 : DTaP, TdaP, Td 백신 있음.
3.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 감염위해요소
- 감염 경로 :
- 일반 감염경로:직접접촉 또는 공기매개로 인한 비말감염을 통하여 감염됨.
- 실험자 감염경로:배양균이나 농축 배양액 조작 시 비말을 통한 점막 감염됨. - 감염량 : -
- 숙주:사람
- 실험실 획득감염:
1999년까지 8건 보고되었으나 직접감염보다 병원체 조작이 이루어지는 실험실 공간 내에서의 감염으로 확인되었으며, 백신 생산 준비과정 중 액체배양액에 산소를 공급해주던 사람이 감염된 사례도 있음.
(출처 : Pathogen Safety Data Sheets, CANADA, 2011-08-19)
- 생물안전밀폐등급
- BL2 권장:임상검체, 감염성물질, 배양체를 취급하는 실험
- ABL2 권장:동물 감염실험 및 감염동물 해부 등
- 개인보호장비 : 반드시 실험복을 착용하고, 감염성물질 또는 감염동물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경우 장갑착용, 감염성물질이 튈 우려가 있을 경우 눈보호구 및 호흡보호장비 착용, 에어로졸 발생우려가 있는 조작과 대량 또는 고농도의 균 취급 시 생물안전작업대(BSC) 내에서 작업할 것을 권장, 주사바늘 및 날카로운 실험도구 사용 자제.
- 소독 및 불활성화 : 70% ethanol, 저농도 chlorine(<1ppm), glutaraldehyde, peracetic acid(0.001~0.2%), phenolics(orthophenylphenol, orthobenzylparachlorophenol), 160~170℃에서 1~2시간 멸균, 121℃에서 15~30분간 고압증기멸균 등
- 숙주 외 환경저항성:건조한 환경에서 3~5일, 의류 등 섬유에서 5일, 종이에서 2일, 유리위에서 6일간 생존 가능.
- 폐기물 처리:감염성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