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 Burkholderia mallei
-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 조회
- 51
-
- 작성일
- 2020-01-30
(세균) Burkholderia mallei
출처:http://www.rki.de/SharedDocs/Bilder/InfAZ/Rotz/EM_Tab_Rotz.html Hans R. Gelderblom, Gabi Schlier, Rolf Reissbrodt/Robert Koch-Institut
• 위 험 군 :제 3위험군
• 국내범주 :고위험병원체, 생물작용제, 전략물자통제병원체
• 특 성 :Burkholderiaceae과, 그람음성, 짧은 막대균(cocco-bacilli), 운동성 없음, 포자 형성 안함
1. 병원성 및 감염증상
- 잠복기 : 보통 1 ~ 14일
- 마비저(Glanders)를 유발하며, 감염 시 항생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치명적이고 3가지 형태로 증상이 나타남.
- 마비저:손, 발 등 몸의 피부에서 피부질환형태로 피하조직과 림프절에 다양한 종기가 생기는 전신성 림프절병증(generalized lymphadenopathy)과 다발성 피부결절을 보임.
- 만성적 폐질환:주로 감기증상과 함께 점막고름이 분비됨.
- 급성 패혈증:주로 노새와 당나귀에서 흔하게 발생하고 고열, 간헐적인 발열, 탈진, 발한 증상이 나타나며, 7~10일 후 사망함.
2. 치료 및 백신
- 치료 : tetracyclines, ciprofloxacin, streptomycin, novobiocin, gentamicin, imipenem, ceftazidime, and sulfonamides.
- (출처 : Glanders. 2012. CDC. US.)
TMP-SMX(Trimethoprim-sulfamethoxazole)가 사람과 동물에게 모두 효과적임. - 백신 : -
3.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 감염위해요소
- 감염 경로
- 일반 감염경로:말의 비강, 구강 분비물에 직접적인 접촉, 사람간 직접접촉에 의한 전파도 확인됨.
- 실험자 감염경로:손상된 피부나 점막이 감염성 물질에 노출 또는 오염된 에어로졸 흡입. - 감염량 : -
- 숙주:말, 노새, 당나귀가 대표적이며, 사람이 숙주가 되기도 함.
- 실험실 획득감염
- 전 세계적으로 25건이 넘는 실험실획득감염이 보고되었음.
- 2000년 U.S. Army Medical Research Institute for Infectious Diseases의 미생물학자가 감염됨. 실험자는 때때로 장갑을 착용하지 않고 생균을 포함한 장비를 취급했으나 명확한 노출은 확인되지 않았음. 감염자는 항생제 치료를 받고 회복하였음. 또한 감염자는 제1형 당뇨병 기저질환자로 확인되었음
(출처 : Molecular Insights into Burkholderia pseudomallei and Burkholderia mallei Pathogenesis. Annual Review of Microbiology. 2010;64:495-517)
- 그 외에도 원심분리기 사고 및 입을 이용한 피펫팅으로 인한 감염사고가 보고된 바 있음.
(출처 : Material Safety Data Sheets, CANADA, 2011-2-18)
- 생물안전밀폐등급
- BL2 권장:임상검체 취급, 분자생물학적, 혈청학적 검사
- BL3 권장:에어로졸 발생 가능 조작, 감염성 체액 및 조직 취급, 균배양 및 항생제 감수성 시험 등 병원체를 직접 취급하는 실험
- ABL3 권장:동물 감염실험 및 감염동물 해부 등
- 개인보호장비 : 반드시 앞트임이 없는 실험복과 장갑, 호흡보호장비 착용(BL3에서 취급할 경우 KF94 또는 N95 마스크 등 이와 동급 마스크 이상 호흡보호장비 착용), 배양액 및 감염성 물질이 튈 우려가 있을 경우 호흡장비가 장착된 안면보호장비 착용, 배양액 취급 및 에어로졸 발생 가능한 조작은 생물안전작업대 내에서 수행. 주사바늘 및 뾰족한 실험도구 사용 자제.
- 소독 및 불활성화 : 1% sodium hypochlorite, 70% ethanol, 5% calcium hypochloride, iodine, benzalkonium hypochloride, 1% potassium permanganate, 3% solution of akali, 3% sulfurcarbolic solution, 121℃ 에서 15분 이상 고압증기멸균, 160~170℃에서 1시간 이상 건열 멸균, 자외선 조사, 2% glutaraldehyde 등.
- 숙주 외 환경저항성:실온의 물에서 30일까지 생존 가능.
폐기물 처리:감염성 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자외선 조사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