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 Campylobacter spp.(C. coli, C. fetus, C. jejuni)
-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 조회
- 48
-
- 작성일
- 2020-01-30
(세균) Campylobacter spp.(C. coli, C. fetus, C. jejuni)
C. jejuni
출처:http://phil.cdc.gov/phil/details.asp ID#5781,CDC/ Dr. Patricia Fields, Dr. Collette Fitzgerald
• 위 험 군 :제 2위험군
• 국내범주 :-
• 특 성 :Campylobacteraceae과, 그람음성, 나선형 막대균, 운동성 있음, 미산소성(microaerobic)
1. 병원성 및 감염증상
- 잠복기 : 1 ~ 10일
- C. coli, C. jejuni는 급성위장관염인 캄필로박터균 감염증(campylobacteriosis)을 유발함.
- C. fetus는 세균혈증(bacteremia), 패혈증(sepsis)을 유발함.
- 캄필로박터균 감염증은 설사, 혈변, 복통, 권태감, 발열, 오심, 구토 등의 증상이 일주일까지도 지속될 수 있으며, 수 주간 대변에서 균을 배출할 수 있음(항생제 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에 2-7주까지 균을 배출하기도 함).
- C. fetus는 장관 내 질환보다는 급성 열성 균혈증성 감염을 잘 일으키며, 간경변환자, 암환자, 순환계 질환의 고령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며, 뇌막, 흉막강, 폐, 관절, 심외막, 복막에 국소병변을 일으키기도 함.
2. 치료 및 백신
- 치료 : 항심각한 질환 및 패혈증 환자에게 erythromycin, tetracycline, azithromycin, amoxicillin-clavulanate, chloramphenicol, quinolone 등 사용.
- 백신 : -
3. 실험실 생물안전정보
- 감염위해요소
- 감염 경로
- 일반 감염경로:오염된 음식, 물, 우유를 섭취하거나 분변-구강 경로로 감염
- 실험자 감염경로:오염된 물질 섭취, 비경구적 투여에 의하여 감염 가능함. - 감염량 : 개인 감수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 500개체 섭취할 경우 감염되는 사람이 있음.
- 숙주:
- C. coli:사람, 돼지, 가금, 소, 양, 새
- C. fetus:사람, 소, 양
- C. jejuni:사람, 소, 야생조류, 가금류, 양, 돼지, 개, 고양이, 물, 토끼, 밍크, 곤충 - 실험실 획득감염:Campylobacter spp.에 의한 실험실 획득감염 발생이 드묾. C. jejuni reference strain을 취급하던 연구자가 실험실 획득감염된 사례 있음.
(출처 : Application of Serotyping and Chromosomal Restriction Endonuclease Digest Analysis in Investigating a Laboratoryacquired Case of Campylobacter jejuni Enteritis,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Dec 1983, p. 1427-1428)
- 생물안전밀폐등급
- BL2 권장:임상검체, 감염성물질, 배양체를 취급하는 실험
- ABL2 권장:동물 감염실험 및 감염동물 해부 등
- 개인보호장비 : 반드시 실험복을 착용하고, 감염성물질이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경우 장갑 착용, 감염성물질이 튈 우려가 있을 경우 눈보호구 착용, 에어로졸 발생우려가 있는 조작과 대량 또는 고농도의 균 취급 시 생물안전작업대(BSC) 내에서 작업할 것을 권장, 주사바늘 및 날카로운 실험도구 사용 자제.
- 소독 및 불활성화 : 70% ethyl alcohol, 0.0005% hypochlorite, 1:50,000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0.125% glutaraldehyde, 0.15% phenolic compound, 10 mg/L iodophor, 70℃에서 1분간 열처리, pH 5.0 이하, pH 9.0 이상에서 처리, 121℃에서 15~30분간 고압증기멸균 등
- 숙주 외 환경저항성:Campylobacter spp.은 4℃ 물에서 수 주, 15℃ 이상에서 수 일, 건조한 환경에서 2~10시간 생존 가능 가능
- 폐기물 처리:감염성물질을 취급한 모든 폐기물은 고압증기멸균 등의 처리 후 의료폐기물로 처리